2019학년도 고3 6월 모의고사 영어 33번 문제 해설
페이지 정보
작성자 MOSIT 작성일18-06-19 22:33 조회12,198회 댓글1건첨부파일
- 2019학년도 대비 평가원 6월 모의고사 영어 33번 문제 해설.pdf (78.0K) 197회 다운로드 DATE : 2018-06-21 00:11:21
본문
2019학년도 대비 평가원 6월 모의고사 영어 33번 문제 해설
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orists of the novel commonly define the genre as a biographical form that came to prominence in the lat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_________________ as a replacement for traditional sources of cultural authority. The novel, Georg Lukács argues, “seeks, by giving form, to uncover and construct the concealed totality of life” in the interiorized life story of its heroes. The typical plot of the novel is the protagonist’s quest for authority within, therefore, when that authority can no longer be discovered outside. By this accounting, there are no objective goals in novels, only the subjective goal of seeking the law that is necessarily created by the individual. The distinctions between crime and heroism, therefore, or between madness and wisdom, become purely subjective ones in a novel, judged by the quality or complexity of the individual’s consciousness.
① to establish the individual character
② to cast doubt on the identity of a criminal
③ to highlight the complex structure of social consciousness
④ to make the objective distinction between crime and heroism
⑤ to develop the inner self of a hero into a collective wisdom
이 문제에서, 이 문제의 답을 가려내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이 지문 내용은 그 누구도 완전하게 이해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시험 문제는 최소한의 상식과 그 시험문제 지문에 있는 내용과 그 내용을 바탕으로 추론한 것으로 해결해야 한다. 그런데 이 지문은 대학의 영문과에서 소설을 전공한 석사과정 이상의 학생도 그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지문이다.
이 지문에 포함된 “cultural authority”라는 표현의 의미, 그리고 다른 일부 표현과 내용은 대학의 영문과 석사과정 이상에서 영미 18~19세기 소설을 다룬 자료와 지식이 필요하다.
국내대학 영문과 석사 과정이상에서도 탐정소설을 거론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학교교사/학원강사. 심지어 대학의 영문학 전공의 교수도, 탐정소설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다면 이 지문을 바로 이해할 수가 없을 것이다.
이 문제는 도저히 영어 시험문제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출제자의 안이함, 자질 부족을 극명하게 드러낸 문제이다. 이 문제 출제자는 영어 문제를 출제할 자격이 없는 사람이다.
평가원에서 정답과 해석을 제시했기 때문에 답을 끼워 맞히고, 억지로, 엉터리로 해설하는 교사나 학원강사는 없어져야 한다. 교사와 학원강사들은 최소한의 양심은 지켜야 한다.
이 문제 지문은 Deirdre David가 편집한, “The Companion to The Victorian Novel”에서 발췌한 지문이다.
18~19세기 영미소설, 특히 이 시대 영국소설을 ‘Victorian Novels’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The Companion to The Victorian Novel”은 국내를 기준으로 보면, 대학의 영문과에서, 18~19세기 영미소설을 전공으로 하는 석사과정 그 이상의 전공자들이 참고서적으로 사용하는 전공서적으로 보면 된다. 따라서 최소한 석사과정 그 이상의 영어소설 전공자에게 필요한 배경지식이 있어야 이 지문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이 문제 지문은 5개 문장으로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5개 문장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 Theorists of the novel commonly define the genre as a biographical form that came to prominence in the lat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o establish the individual character as a replacement for traditional sources of cultural authority.
① theorists of the novel : 소설 이론가 → 소설평론가로 해석.
② the genre : 탐정소설. 영미문학에서 추리소설, 더 구체적으로 탐정(= detective)이 등장하는 소설의 효시로 간주하는 것이 1860년 영국 작가 ‘Wilkie Collins’의 “The Woman in White”이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시작한 사람은 “Sherlock Holmes”의 ‘Arthur Conan Doyle’이다. 지문의 “the genre”는 이런 유형의 소설을 의미한다.
③ biographical form : Charlotte Brontë의 “Jane Eyre” 유형을 지칭한다. 마치 주인공의 자서전적인 소설을 의미한다. 문제 지문의 원문에는 Charlotte Brontë의 “Jane Eyre” 유형을 지칭한다고 분명히 명시했다. 이런 소설은 18세기 후반기와 19세기에 절정을 이루었다. 이런 유형의 소설 다음에 탐정소설이 등장한다.
④ cultural authority : “cultural authority”라는 단어는 우리말 한 단어로 도저히 번역할 수 없다. 방대한 개념이고 이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그 의미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그래서 이 문맥에서 어떤 의미로 “cultural authority”가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국내에서 대학의 영문과에서 문학전공으로 석사과정 이상의 학생들, 거의 모두 이 지문에 사용된 “cultural authority”의 의미를 도저히 알 수가 없을 것이다. 극히 몇 명을 제외하고 심지어 대학에서 강의하는 영문학 교수도 거의 모두 이 지문에 사용된 “cultural authority”의 의미를 도저히 알 수가 없을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한 이 문제 출제자가 기함할 정도로 안이하고 무능력하다. 그냥 원문 가지고 있고, 그래서 그 당사자는 공란에 무엇이 들어가는지 알고, 그래서 문제로 출제한 것으로 보인다.
“authority”라는 단어 저변에는 “신뢰, 믿음”이라는 뉘앙스가 깔려있다. “author”는 만든 사람, 저자를 의미하고 그래서 진짜, 오리지널.... 이런 의미가 깔려있다. 그 형용사인 “authentic”은 진짜, 믿을 수 있는 것.... 이런 의미로 사용된다.
일종의 영문학 개념이나 용어 사전으로 사용하는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에도 “cultural authority”라는 용어는 없다.
“The Cambridge Companion to Crime Fiction”에도 “cultural authority”라는 용어는 없다.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Eighteenth-Century Novel”에도 “cultural authority”라는 용어는 없다.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Victorian Novel”에는 “cultural authority”라는 용어는 그 용어에 대한 정의 없이 전체에서 2번이 사용되었다. 이 책이 33번 문제 원문이 있는 책이다.
Daniel G. Williams의 Ethnicity and Cultural Authority From Arnold to Du Bois: “cultural authority”라는 용어는 그 용어에 대한 정의 없이, 지문에서 몇 번 사용되었다. 이 책에는 아주 재미있는 부분이 있다.
the breakdown of traditional sources of cultural authority – the community, the home, the church, – which had once guaranteed an optimistic belief in the harmony of moral and material progress
여기에서는 “traditional sources of cultural authority”를 “the community, the home, the church”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⑤ to establish the individual character as a replacement for traditional sources of cultural authority : 문제 지문에서 언급된 “the genre”는 탐정소설을 의미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Arthur Conan Doyle의 “Sherlock Holmes”를 의미한다. 이런 유형은 영미소설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것이기 때문에 소설 평론가들이 분류하기가 쉽지 않다.
Walter Scott의 “Ivanhoe”에는 “the church”가 강력한 세력으로 등장하고, 왕에 대한 충성심, 기사도...등이 등장한다. 그런데 자서전적인 소설에는 “the community, the home, the church”가 핵심으로 등장하지는 않는다. 가령 “Jane Eyre”의 경우 개인의 성장소설이다. Jane Eyre가 고아원으로 가게 되고, 고아원에서 성장하고 가정교사로 가게 되고....
자서전적인 소설, 가령 “Jane Eyre”에는 Jane Eyre가 주인공이다. 탐정소설에서는 탐정이 주인공이다. 이전에는 인간은 신의 피조물로 간주했으나 이제는 나무에서 떨어진 원숭이의 후손(= 종의 기원)으로 간주되고, 따라서 교회에서 설파하는 내용을 믿을 수가 없다. 그러나 Arthur Conan Doyle의 “Sherlock Holmes”에서는 과학지식, 더 정확하게는 Forensic knowledge(= 법의학 지식)으로 범인을 추적하고 지목한다.
(탐정소설을 지지/인정하는) 소설평론가들은 탐정을 사라져가는 cultural authority 대신에 탐정을 설정하려고,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에 절정을 이루었던 자서적인 소설로 탐정소설을 규정하려고 했다.
(2) The novel, Georg Lukacs argues, “seeks, by giving form, to uncover and construct the concealed totality of life” in the interiorized life story of its heroes.
① giving form : 대학의 영문과에서 석사과정이상으로 문학, 더 구체적으로 소설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은 알기 어려운 내용이다. 소설에서 주인공이 등장하고, 사건이 전개되면 그 소설의 내용/형태가 드러난다. 이것을 지칭한다.
② interiorized : “interiorize” 혹은 “interiorized”는 일반적인 영어사전에는 아예 없는 단어이다. 영미소설에서 주인공의 내면세계를 다룬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가령 Agatha Christie의 소설에서 살인범이 모친과 함께 버림을 받은 피해자의 아들로, 생부에 대한 증오로 살인을 한다. 이런 단어는 대학의 영문과에서 문학전공 석사 과정에서만 필요한 단어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 대학의 영문과에서 문학전공 석사 과정 이상 전공자 외)들은 그 의미를 전혀 알 수 없는 단어이다.
Georg Lukacs는 원래 서사시(the Epic)와 대조하여 소설을 언급하였다. Georg Lukacs는 ‘소설이라는 것은 구체적인 상황을 전개하여 그 주인공의 내면 이야기로 인생에서 숨겨진 것을 드러내고 인생전체를 구성하려고 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3) The typical plot of the novel is the protagonist’s quest for authority within, therefore, when that authority can no longer be discovered outside.
① protagonist : “protagonist”는 첫 번째를 의미하는 “prot-”와 전투, 경쟁을 의미하는 “agonist”가 합쳐진 것이다. 앞장서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protagonist”는 고대 그리스 drama에서 “the first actor”를 의미했고, 오늘날 영어에서는 “주인공”을 의미한다.
② authority : Arthur Conan Doyle의 “Sherlock Holmes”에서, Sherlock Holmes는 마약쟁이이고
댓글목록
MOSIT님의 댓글
MOSIT 작성일누구나 첨부파일에서 내용을 다운받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